맨위로가기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0년대 계획 수립 이후 경전철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2009년 착공, 2016년 개통되었다.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운영하며,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서 2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경전철 차량으로, 검단오류역부터 운연역 구간을 운행하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1차로 37편성, 2021년에 6편성이 추가 도입되어 제3궤조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양산 도시철도
    양산 도시철도는 2026년 개통을 목표로 11.4km 구간에 7개 역을 갖춘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의 노선으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에서 양산시 북정역까지 연결되며 총 사업비는 5,516억 원이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인천 2호선
원어 이름인천 2호선(仁川二號線)
로마자 표기Incheon I Hoseon
종류도시 철도
시스템인천 도시철도
상태운영 중
지역인천광역시
기점검단오류역
종점운연역
역 수27
개통일2016년 7월 30일
소유자인천광역시
운영자인천교통공사
차량 기지오류주박기지, 운연차량사업소
노선 길이29.2km
선로 수2
궤간1435mm
전철화 방식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신호 방식RF-CBTC
노선 색상#ED8B00
운영
차량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이미지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호선에서 사용되는 2000계 전동차
노선 정보
영업 최고 속도CBTC/ATP/ATO 구간 80㎞/h
제원 비고내용
기타
로마자 표기법Incheon Rapid Transit Line2

2. 역사

1990년대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본래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준공·개통할 예정이었다.[14] 그러나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의견 충돌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변경하여 사업 규모를 축소,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


  • 2009년 6월 26일: 공사 시작. 공사비는 2조이었다.
  • 2016년 초: 시운전 시작.
  • 2016년 7월 30일: 7년간의 공사 끝에 개통.[2][3]


2호선은 2014년 8월 개통될 예정이었으나,[4] 개통일이 2016년 7월 30일로 연기되었다.

2. 1. 건설 배경 및 추진 과정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에 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당시 계획에는 1, 2, 3호선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때의 2호선은 남동공단의 근로자 통근을 위하여 인천대공원이 아니라 공단을 경유하고, 대공원은 3호선이 지나도록 계획되었다. 당초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준공·개통할 예정이었으나[14],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의견 충돌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변경하여 사업 규모를 축소,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15]

날짜내용
1992년 9월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노선 기본계획 확정
1998년 5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 승인 신청
2006년 9월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2007년 7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제출
2007년 12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2차 제출 (총 사업비 24.59조)
2008년 8월한국개발연구원 2차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발표
2009년 6월 26일착공[15]
2010년 4월 12일사업 계획 승인 (사업 기간 ~ 2014년)[16]
2013년 3월 20일사업 기간 연장 ( ~ 2016년)[17]
2015년 10월 5일역명 결정고시[18]
2016년 7월 25일서구청역 특별 무료시승
2016년 7월 29일개통식 및 무료시승
2016년 7월 30일인천 도시철도 2호선 29.1km 구간 개통(영업 개시)[19]



당초 2호선은 2014년 아시안 게임 개최에 맞춰 개통을 목표로 2009년 6월에 착공되었으나,[4] 개통일이 2016년 7월 30일로 연기되었다.[2][3]

2. 2. 개통 및 운영

1990년대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본래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준공·개통할 예정이었다.[14] 그러나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되었다. 이후 수차례씩 의견 충돌 문제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바꾸는 과정이 이루어져 사업 규모를 축소하여,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

날짜내용
1992년 9월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노선 기본계획 확정
1998년 5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 승인 신청
2006년 9월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2007년 7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제출
2007년 12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2차 제출 (총 사업비 24.59조)
2008년 8월한국개발연구원 2차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발표
2009년 6월 26일착공[15]
2010년 4월 12일사업 계획 승인 (사업 기간 ~ 2014년)[16]
2013년 3월 20일사업 기간 연장 ( ~ 2016년)[17]
2015년 10월 5일역명 결정고시[18]
2016년 7월 25일서구청역 특별 무료시승
2016년 7월 29일개통식 및 무료시승
2016년 7월 30일인천 도시철도 2호선 29.1km 구간 개통[19](영업 개시)
2021년 5월 22일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역 환승 개통
2023년 7월 28일고양 연장 예비 타당성 조사 착수[20]
2023년 11월 9일신천~하안~신림선 연장 예비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결과 비용대비 편익이 1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21]
2024년 3월중련열차 투입 예정[22]



2호선은 당초 2014년 아시안 게임(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개최에 맞춰 개통을 목표로 2009년 6월에 착공되었으나, 2014년 8월 개통 예정에서[4] 2016년 7월 30일로 연기되었다.[2][3] 개통 첫날부터 신호 시스템에 문제가 잇따르기도 했다.[10]

2. 3. 연장 및 추가 개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에 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초기 계획에는 1, 2, 3호선이 모두 포함되었는데, 당시 2호선은 남동공단의 근로자 통근을 위해 인천대공원이 아닌 공단을 경유하고, 대공원은 3호선이 지나도록 설계되었다. 당초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완공하고 개통할 예정이었으나[14],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되었다. 여러 차례 의견 충돌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변경하여 사업 규모를 축소,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

날짜내용
1992년 9월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노선 기본계획 확정
1998년 5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 승인 신청
2006년 9월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2007년 7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제출
2007년 12월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2차 제출 (총 사업비 24.59조)
2008년 8월한국개발연구원 2차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발표
2009년 6월 26일착공[15]
2010년 4월 12일사업 계획 승인 (사업 기간 ~ 2014년)[16]
2013년 3월 20일사업 기간 연장 ( ~ 2016년)[17]
2015년 10월 5일역명 결정고시[18]
2016년 7월 25일서구청역 특별 무료시승
2016년 7월 29일개통식 및 무료시승
2016년 7월 30일인천 도시철도 2호선 29.1km 구간 개통[19](영업 개시)
2021년 5월 22일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역 환승 개통
2023년 7월 28일고양 연장 예비 타당성 조사 착수[20]
2023년 11월 9일신천~하안~신림선 연장 예비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결과 비용대비 편익이 1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21]
2024년 3월중련열차 투입 예정[22]


3. 운영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춘 지하철 노선이다.[4][5] 현대로템에서 2013년에 제작한 2량 1편성 열차 37편성이 운행되고 있다.[4][5] 이 열차는 캐나다 밴쿠버의 캐나다 라인 차량과 유사하지만, 폭이 좁은 경전철 차체(2.65m)와 외측 슬라이딩 도어, 하부 접촉식 제3궤조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현재 모든 역은 4량 열차(2편성 연결)를 수용할 수 있지만, 지금은 2량 열차(1편성)만 운행하고 있다.

탈레스의 SelTrac CBTC 시스템과 도시철도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무인 운전이 가능하다.[2] 부산교통공사 4호선이나 신분당선처럼 무인 자동 운전이지만, 비상시를 대비해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탑승한다.

3. 1. 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에서 남동국가산업단지까지 계획되었으나, 2008년 8월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건설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 노선은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인근을 경유하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기관사 면허를 가진 운행관리원이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항상 탑승한다.[4][5]

항목내용
노선 거리29.1km
운영 기관인천교통공사
역 수27
복선 구간전 구간
전철화 구간전 구간
총 사업비24.59조 (국고 14.754조, 시비 9.836조)
구간검단오류 ~ 운연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춘 지하철 노선으로, 2량 1편성으로 구성된 열차 37편성이 운행 중이다. 모든 열차는 현대로템에서 2013년에 제작되었다. 열차는 캐나다 밴쿠버의 캐나다 라인 차량과 유사하지만, 폭이 좁은 경전철 차체(2.65m)와 외측 슬라이딩 도어, 하부 접촉식 제3궤조를 사용한다.

현재 모든 역은 4량 열차(2편성 연결)를 수용할 수 있지만, 현재는 2량 열차(1편성)를 운행하고 있다.

탈레스가 SelTrac CBTC 시스템과 도시철도 교통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무인 운전이 가능하다.[2]

2014년 아시안 게임 개최에 맞춰 개통을 목표로 2009년 6월에 착공되었으나, 2016년 7월에 완공되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검암역), 7호선 (석남역), 1호선 (주안역), 인천 1호선 (인천시청역)과 환승된다.

3. 2. 차량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전동차이다.[4][5] 비상시 대응을 위해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탑승하지만, 기본적으로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된다.[2]

2량 1편성으로 구성된 총 37편성의 열차가 2013년에 제작되어 운행 중이다.[4][5] 이 열차는 캐나다 밴쿠버의 캐나다 라인 차량과 유사하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갖는다.

  • 폭이 좁은 경전철 차체 (2.65m)
  • 외측 슬라이딩 도어 사용
  • 하부 접촉식 제3궤조 사용


현재 모든 역은 4량 열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 운행은 2량 열차로 이루어지고 있다.[23]

항목내용
제작사현대로템
운행 방식무인 자동 운전 (관제원 탑승)
도입 편성 수37편성 (철제 차륜 2량 1편성, 향후 4량 1편성으로 변경 예정)
규격전장(34.4m), 전폭(2.65m), 전고(3.6m)


3. 3. 운임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마찬가지로, 수도권 전철의 일부로서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3. 4.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
소재지I201검단오류
(검단산업단지)
黔丹梧柳
(黔丹産業團地)Geomdan Oryu
(Geomdan Industrial Complex)-0.0인천광역시서구I202왕길旺吉Wanggil1.31.3I203검단사거리黔丹四거리Geomdan Sageori1.42.7I204마전麻田Majeon1.13.8I205완정完井Wanjeong0.84.6I206독정篤亭Dokjeong0.95.5I207검암黔岩Geomam인천국제공항철도1.87.3I208검바위黔바위Geombawi0.98.2I209아시아드경기장
(공촌사거리)
아시아드競技場
(公村四거리)Asiad Stadium
(Gongchon Sageori)1.19.3I210서구청西區廳Seo-gu Office0.810.1I211가정
(루원시티)
佳亭
(Lu 1 City)Gajeong
(Lu 1 City)2.212.3I212가정중앙시장佳亭中央市場Gajeong Jungang Market0.813.1I213석남
(거북시장)
石南
(거북市場)Seongnam
(Geobuk Market)서울 지하철 7호선1.214.3I214서부여성회관西部女性會館West Woman's Community Center0.815.1I215인천가좌仁川佳佐Incheon Gajwa1.116.2I216가재울가재울Gajaeul1.117.3I217주안국가산단
(인천J밸리)
朱安國家産團
(仁川J밸리)Juan Nat'l Industrial Complex
(Incheon J Valley)1.418.7I218주안朱安Juan수도권 전철 1호선1.019.7미추홀구I219시민공원
(문화창작지대)
市民公園
(文化創作地帶)Citizens Park
(Culture Creation Zone)1.020.7I220석바위시장石바위市場Seokbawi Market1.021.7I221인천시청仁川市廳Incheon City Hall인천 도시철도 1호선0.722.4남동구I222석천사거리石泉四거리Seokcheon Sageori0.823.2I223모래내시장모래내市場Moraenae Market0.824.0I224만수萬壽Mansu1.125.1I225남동구청南洞區廳Namdong-gu office1.226.3I226인천대공원仁川大公園Incheon Grand Park1.527.8I227운연(서창)雲宴(西昌)Unyeon (Seochang)1.329.1



모든 역에서 승강장 반대편으로 이동이 가능하다.[24]

4. 안전 및 주의사항

터널 내 선로 옆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어, 무단으로 임의 하차하면 감전될 위험이 있다.

4. 1. 안전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나 신분당선처럼 무인 자동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비상시 대응을 위해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탑승하고 있다.

4. 2. 주의사항

터널 내 선로 옆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어, 무단으로 임의 하차하면 감전될 위험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www.ictr.or.k[...] Incheon Transit Corporation 2017-01-13
[2] 웹사이트 Opening Ceremony Held for Incheon Subway Line No. 2 http://world.kbs.co.[...]
[3] 웹사이트 인천시의회, 하루 만에 뒤집다 http://www.kihoilbo.[...] Kiho News 2012-06-22
[4] 간행물 Incheon metro Line 2 signalling contract awarded http://www.railwayga[...] 2010-02-09
[5] 웹사이트 The specification of the cars of Incheon Subway Line 2 http://imrt2.hiconst[...]
[6] 문서 LU 1 City
[7] 웹사이트 사업소개 http://www.incheon.g[...] 도시철도건설본부 2012-06-07
[8] 뉴스 7月開通予定の仁川都市鉄道2号線、試験運行中に追突事故発生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6-05-31
[9] 뉴스 인천시, 도시철도 2호선 오는 7월 30일 전면 개통 http://www.itrailnew[...] 인터넷레일뉴스 2016-05-18
[10] 뉴스 無人運転の仁川都市鉄道2号線、開通初日からトラブル相次ぐ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6-07-31
[11] 뉴스 인천도시철도 2호선 전동차 12량 증차제작사업 착수 http://www.incheonne[...] 仁川ニュース 2018-08-30
[12] 뉴스 인천 2호선 2014년 토목공사 완료 … 2016년 개통 http://news.itimes.c[...] 인천일보 2012-06-05
[13] 웹인용 인천도시철도 2호선 궤도 http://imrt2.hiconst[...] 2012-01-31
[14] 뉴스 인천지하철 2,3호선 도심구간 99년 착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5-08
[15] 뉴스 인천 지하철 2호선 26일 착공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9-06-26
[1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192호 2010-04-12
[1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156호 2013-03-20
[18] 간행물 인천광역시고시 제2015-264호 http://announce.inch[...] 2015-10-05
[19] 간행물 인천교통공사공고 제2016-230호 http://www.incheon.g[...] 2016-07-18
[20] 뉴스 인천 철도 2호선 고양 연장안, 예타 착수…1년 소요 전망 https://news.mtn.co.[...] MTN
[21] 뉴스 신천~하안~신림선 청신호…비용편익 1 넘어 https://newsis.com/v[...] 뉴시스
[22] 뉴스 인천시, 내년 3월 인천2호선 출퇴근 시간 증편··· ‘중련 열차’ 투입 http://www.incheonto[...] 인천투데이
[23] 웹인용 인천도시철도 2호선 차량 http://imrt2.hiconst[...] 2010-03-10
[24] 웹사이트 인천도시철도 2호선 역명 확정 http://iurail.incheo[...] 인천도시철도건설본부
[25] 웹사이트 인천도시철도 2호선 역간 거리 및 운임 알림 http://www.ictr.or.k[...] 인천교통공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